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

건축디자인 미의 구성 요소 크기(Size) 7.1 크기의 개념길이나 면적 또는 용적 등에서 그 크기의 비교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크기는 미의 구성 요소가 됩니다. 크기는 거리나 위치 등의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상대적 개념이기도 합니다.예를 들어 호랑이와 사자가 싸운다면 어느 쪽이 이길까? 라고 질문한다면 사실 그것은 어리석은 질문에 불과합니다. 그 이유는 양자의 크기나 건강 등의 조건이 있어야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어느 한쪽이 병약하거나 어리면 그 싸움은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또 황소나 개구리는 큰 동물인가? 작은 동물인가? 라는 질문 또한 잘못된 질문입니다. 왜냐하면 황소는 돼지보다는 크고 코끼리보다는 작으며, 개구리도 마찬가지로 개미보다는 크지만 토끼보다는 작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크기란 상대적으로 결정된 개념이기 때문.. 2024. 10. 13.
건축디자인 미의 구성 요소 방향(方向, Direction) 점, 선, 면 등의 미의 구성 요소는 어떤 방햔성을 가지면 이 방향성은 종류에 따라 각각 고유의 특성을 가지며 우리에게 여러 가지 느낌이 들도록 합니다. 따라서 방향은 디자인 요소로 작용합니다.1920년대 순수주의(Purism) 선언에서 르 코르뷔지에는 "조형언어의 기본은 중력의 감각이다. 이 것은 수직으로 표현되며, 이에 대한 지지감각은 수평으로 표현된다"라고 하였습니다. 조형디자인은 점, 선, 면 기타 제반 요소가 총동원되고 원리에 의하여 구성되지만 이러한 과정도 항상 총체적 구성의 기본적인 감각에 꼭 필요한 것은 역학적 안정성입니다. 6.1 방향의 종류기본 방향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및 사방향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더 세분화하면 이 세 가지 방향 사이로 무수히 많은 방향을 설정할 .. 2024. 10. 12.
건축디자인 미의 구성 요소 공간(空間, Space) 우리는 길이, 넓이, 높이가 함께 있는 공간 3차원의 세계에 존재합니다.우리는 공간을 보거나 그 속에서 움직임으로써 공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우리는 항상 자기 자신의 공간에서 중앙에 있습니다. 우리가 공간 속 물체의 구조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3차원적 세계를 설계하기 위해서 디자이너는 공간, 형태, 구조의 상호연관성에 대해 민감해야 하며, 충분한 이해와 기초 지식을 가져야 합니다.일반적으로 공간이란 모든 물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곳 또는 존재하는 그 바깥쪽 부분을 의미하는데, 건축에 있어서 공간이란 대체로 구조체 안쪽을 의미합니다. 형태는 공간 속에 존재합니다. 시간 또한 어떤 면에서 일정한 공간 속에 존재하게 되며 우리는 공간을 어떤 제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경계선 안에 존재하.. 2024. 10. 11.
건축디자인 미의 구성 요소 면(Surface) 형(Shape) 3. 면(面, Plane, Surface)점이나 선으로 간주하지 않는 모든 평면적인 형상이 바로 면입니다. 평면으로 된 어떤 형태의 외곽을 나타내는 개념적인 선은 형상만을 위해 존재하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어떤 형태의 외곽선이 형상을 만들어 주고 그 만들어진 형상의 모든 면적은 곧 면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형상과 면은 항상 동시성과 동일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면은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형태를 이루기도 하고, 면들이 모여 어떠한 형태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평면의 형태는 선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지지만 입체의 형태는 면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3.1 면의 종류면에는 크게 평면과 곡면이 있으며 평면은 직면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직접적·경직적이고 정적이며, 단순한 느낌을 주며, 방향에 따라 수평면,.. 2024. 10. 10.
건축디자인 미의 구성요소 점(Point) 선(Line) 미의 구성 요소(Design Factors)는 디자인 요소 또는 조형 요소라고도 합니다. 자연의 식물을 구성하는 부분은 열매, 꽃, 잎, 가지, 줄기, 뿌리 등입니다. 콘크리트의 구성 요소는 자갈, 모래, 시멘트, 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물리학에서 물질을 구성하는 요소는 핵, 중성자, 전자, 원자, 분자 등이라고 합니다.이렇게 자연 대상에서 미적 요소를 발견하여 형태를 분석하고 보면 그 형성체 역시 몇 개의 기본적인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미적 형성체를 구성하고 있는 패턴은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몇 개의 요소로 되어 있어서 시각 표현상 최소의 기본 단위인 미의 구성 요소라고 합니다.이처럼 미를 구성하는 요소는 점(Point), 선(Line), 면(Plane), 형(Sh.. 2024. 10. 7.
미(美)의 창출 미의 원리적 통일미적 법칙성의 본질이 주관의 '생산성'에 있고, 미적 대상성의 본질이 객관으로부터의 '소여성(所與性)'에 있다고 하면, 모든 미는 이런 양면의 대립하는 계기가 미적 체험에서 융합되고 통일되는 곳에 존재하는 것으로 일원적 원리 아래에 포함할 수 있을 것입니다.예술미와 자연미의 관례를 원리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미학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지만, 이것에 대해 양극적 계기의 관계로부터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일반적으로 미는 자연적인 소여성과 정신적 생산성의 어느 한 쪽에만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미도 관조(觀照) 주체의 내면에서 예술 활동에 있어서 동질의 정신적 창조작용이 발동하여 소재적 소여를 형성할 때 비로소 체험되는 것이고, 이른바 예술미도 표현의 수단 및 대상에 있어서 자.. 2024. 10. 5.